상속포기비용11 미혼, 이혼 후 사망한 형제의 상속인의 상속포기, 한정승인 안녕하세요. 법무법인 에스 상속전담팀입니다. 고인이 사망 당시 결혼하지 않는 상태(미혼, 이혼)이었을 때 상속인은 누가 되는지 상황별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상속 개시 간혹 고인이 살아계실 때 상속을 받을 수 있는지 물어보시는 분이 많으십니다. 하지만 상속은 '고인이 사망'하면서 개시되기 때문에 고인 사망 후 고인의 재산에 대한 포괄적 권리 의무를 승계하게 됩니다. 민법 제 997조(상속개시의 원인) 상속은 사망으로 인하여 개시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고인의 재산에 대한 포괄적 권리 의무'입니다. 보통 '고인의 재산'이라 하면 말 그대로 금전적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상속 재산'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속은 고인의 '빚'도 함께 포함되는 것을 반드시 아셔야 합.. 2021. 3. 19. 상속포기 판결 후 고인의 채권자가 소송했을 때 당사자표시정정 하기 안녕하세요. 법무법인 에스 상속전담팀입니다. 고인의 채권자가 고인을 상대로, 또는 상속포기한 상속인에게 소송을 제기했다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그 방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먼저 상속 개념을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상속 개시 간혹 고인이 살아계실 때 상속을 받을 수 있는지 물어보시는 분이 많으십니다. 하지만 상속은 '고인이 사망'하면서 개시되기 때문에 고인 사망 후 고인의 재산에 대한 포괄적 권리 의무를 승계하게 됩니다. 민법 제 997조(상속개시의 원인) 상속은 사망으로 인하여 개시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고인의 재산에 대한 포괄적 권리 의무'입니다. 보통 '고인의 재산'이라 하면 말 그대로 금전적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상속 재산'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하.. 2021. 3. 15. 미국 시민권 상속인이 상속포기, 한정승인, 특별한정승인 서류 준비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법무법인 에스 상속전담팀입니다. 고인이 사망하여 상속포기, 한정승인, 특별한정승인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상속인이 미국 시민권을 가지고 있어 우리나라에서 서류 준비가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상속인의 미국시민권을 가지고 있을 때 어떻게 서류를 준비해야 하는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상속포기 상속포기는 상속인이 상속개시가 있음을 안 날(보통 고인이 사망한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고인의 재산과 빚을 모두 포기'하는 제도입니다. 민법 제1019조(승인, 포기의 기간) ① 상속인은 상속개시가 있음을 안 날로부터 3월내에 단순승인이나 한정승인 또는 포기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기간은 이해관계인 또는 검사의 청구에 의하여 가정법원이 이를 연장할 수 있다. ② 상속인은 제1항의 승인 또는 포기를 하.. 2021. 2. 23. 중국 국적 상속인이 상속포기, 한정승인, 특별한정승인 서류 준비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법무법인 에스 상속전담팀입니다. 고인이 사망하여 상속포기, 한정승인, 특별한정승인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상속인이 중국 국적을 가지고 있어 우리나라에서 서류 준비가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상속인의 국적이 중국일 때 어떻게 서류를 준비해야 하는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상속포기 상속포기는 상속인이 상속개시가 있음을 안 날(보통 고인이 사망한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고인의 재산과 빚을 모두 포기'하는 제도입니다. 민법 제1019조(승인, 포기의 기간) ① 상속인은 상속개시가 있음을 안 날로부터 3월내에 단순승인이나 한정승인 또는 포기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기간은 이해관계인 또는 검사의 청구에 의하여 가정법원이 이를 연장할 수 있다. ② 상속인은 제1항의 승인 또는 포기를 하기 전에 상속.. 2021. 2. 23. 일본 국적 상속인이 상속포기, 한정승인, 특별한정승인 서류 준비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법무법인 에스 상속전담팀입니다. 고인이 사망하여 상속포기, 한정승인, 특별한정승인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상속인이 일본 국적을 가지고 있어 우리나라에서 서류 준비가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상속인의 국적이 일본일 때 어떻게 서류를 준비해야 하는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상속포기 상속포기는 상속인이 상속개시가 있음을 안 날(보통 고인이 사망한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고인의 재산과 빚을 모두 포기'하는 제도입니다. 민법 제1019조(승인, 포기의 기간) ① 상속인은 상속개시가 있음을 안 날로부터 3월내에 단순승인이나 한정승인 또는 포기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기간은 이해관계인 또는 검사의 청구에 의하여 가정법원이 이를 연장할 수 있다. ② 상속인은 제1항의 승인 또는 포기를 하기 전에 상속.. 2021. 2. 23. 이전 1 2 3 다음